일상돌봄 서비스 신청 방법 & 지원 내용 총정리

혼자 생활이 어려운 청·중장년층이나 가족을 돌보는 청년에게 재가돌봄, 가사 지원, 심리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상돌봄 서비스를 아시나요? 이 제도는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,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


복지로 일상돌봄 신청하기
서비스 제공기관 보기
사회서비스 보러가기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


1. 사업 목적

  • 사회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– 기존 지원에서 제외되었던 청·중장년층에게 맞춤형 돌봄 제공
  • 소득 무관 이용 가능 – 다만, 중위소득 구간별로 본인부담금 차등 부과
  • 삶의 질 향상 – 돌봄, 가사, 심리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

2. 서비스 신청 방법

📌 신청 자격이 있는 사람

본인, 친족, 이해관계인, 또는 담당 공무원(직권 신청 가능)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


📌 신청 경로

  1. 온라인 신청복지로 로그인 후 신청
  2. 방문 신청 –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  3. 전화·우편·팩스 신청 – 부득이하게 방문이 어려운 경우 가능

※ 공무원이 대신 신청하는 경우, 신청서 동의가 필요합니다.





3. 서비스 대상자

📍 돌봄이 필요한 청·중장년

  • 19~64세
  • 질병, 부상, 고립 등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곤란한 경우
  • 돌봄 제공자가 없거나, 경제활동 등으로 돌봄이 어려운 경우

📍 가족돌봄청년

  • 9~39세
  • 질병·정신질환 등으로 일상생활이 힘든 가족을 돌보거나, 이를 위해 생계책임을 지는 경우
  • 돌봄 대상 가족과 동거

💡 소득기준 제한은 없지만, 본인부담금은 소득구간별로 차등 부과됩니다.


4. 서비스 유형

🔹 기본 서비스

  • A형(기본돌봄형) – 월 36시간, 돌봄+가사 지원
  • B형(추가가사형) – 월 24시간, 가사만 지원
  • C형(추가돌봄형) – 월 72시간, 돌봄+가사 지원

🔹 특화 서비스

심리, 식사·영양관리, 병원 동행, 교류·사회참여, 건강생활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


5. 본인부담금 안내

중위소득 기본 서비스 특화 서비스
수급자·차상위 면제 5%
120% 이하 10% 15%
120~160% 25% 30%
160% 초과 100% 100%

💡 서비스 가격은 시간과 유형에 따라 다르며, 장기요양 등 타 돌봄 서비스 이용 중이면 특화서비스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
6. 신청 시 유의사항

  • 서비스 이용기간은 6개월이며, 재판정 후 최대 5회 연장 가능
  • 본인 상황에 맞춰 기본형과 특화형을 조합해 이용 가능
  • 지자체 상황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

💬 마무리

일상돌봄 서비스는 청·중장년층과 가족돌봄청년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. 특히 혼자 생활이 어려운 분이나 가족을 돌보느라 생활이 힘든 청년들에게는 심리적,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지원책입니다. 😊

필요하다면 오늘 바로 복지로 또는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해 보세요!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전국 등기소 및 무인발급기 위치 찾기 방법 안내

인터넷으로 확정일자 받는 방법 안내 (대법원 인터넷등기소 이용하기) 🏡

숲나들e로 국립자연휴양림 예약하는 방법 — 초보도 쉽게 따라하는 5단계 가이드🌲